평산(平山)은 황해도(黃海道) 남동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高句麗) 때 대곡군(大谷郡) 또는 다화실(多和悉)이었던 것을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이 영풍(永豊)으로 고쳤으며, 고려(高麗) 초에 평주(平州)로 하였고 1272년(원종 13) 부흥군(復興郡)에 합쳤다가 충렬왕(忠烈王) 때 다시 복구하였다. 조선(朝鮮) 태종(太宗)13년(1413년)에 평산(平山)으로 바꾸고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하였으며, 고종(高宗) 때 군(郡)이 되었다.
평산 신씨(平山申氏)의 시조(始祖)는 고려(高麗)의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벽상공신(壁上功臣) 삼중대광 태사(三重大匡太師)에 오른 신숭겸(申崇謙)이다. 문헌에 의하면 그의 초명(初名)은 능산(能山)으로 전남 곡성 출신인데, 태봉(泰封: 신라 52대 효공왕 때 궁예가 송악에서 세운 나라)의 기장으로 있다가 고려 태조(高麗太祖) 원년918년 배현경(裵玄慶)·홍 유(洪 儒)·복지겸(卜智謙) 등과 더불어 궁예(弓裔)를 폐하고 왕 건(王 建)을 추대하여 고려(高麗)가 건국(建國)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고려개국원훈(高麗開國元勳)으로 대장군(大將軍)에 올랐다.
<어느날 왕건이 평주(平州: 平山)로 사냥을 나가 삼탄(三灘)을 지날 때 마침 고공(高空)을 나는 세 마리의 기러기를 보고 수행하는 제장(諸將)에게 「누가 저 기러기를 쏘아 맞히겠는가?」하고 묻자 그가 맞히겠다고 아뢰었다. 왕건이 그에게 궁시(弓矢)와 안마(鞍馬)를 내리며 쏘라고 하자 그는 「몇 번째 기러기를 쏘리까」하고 물었다. 왕건이 웃으며 「세번째 기러기 왼쪽 날개를 쏘라」고 하자 과연 세 번째 기러기의 왼쪽 날개를 명중시켜 떨어뜨리자 왕건이 탄복하고 기러기가 날던 땅 3백결을 하사하고 본관을 평산으로 삼게 하였다.>
그후 태조(太祖) 10년(927년) 공산동수(公山桐籔)에서 견훤(甄萱) 군사와의 싸움에 태조(太祖)와 함께 출정하여 포위로 전세가 위급해지자 태조와 용모가 흡사한 숭겸(崇謙)이 태조 왕건를 피신시키고 대신 어거(御車)를 타고 출전하여 전사하였다. 그의 죽음을 슬퍼한 태조는 시신을 잘 보살펴 춘천에 예장(禮裝)하고 벽상호기위태사개국공삼중대광 의경대광위이보지절저정공신(壁上虎騎衛太師開國公三重大匡 毅景戴匡衛怡輔砥節底定功臣)에 추봉하였으며, 숭겸의 아들 보장(甫藏)을 원윤(元尹)으로 삼고, 지묘사(智妙寺 : 경북 달성군 공산면 지묘동)를 세워 그의 명복을 빌었다. 1120년(예종 15) 왕이 서경(西京: 평양)에 행차하여 <팔관회>가 열렸을 때 <도이장가>를 지어 김 낙(金 樂)과 신숭겸의 공을 추도하였다.
가문을 빛낸 대표적인 인맥을 살펴보면 시조 숭겸의 11세손 연(衍)의 아들 중명(仲明 : 도관을 지내고 병조 참판에 추증), 자명(自明: 봉익대부로 춘천부사를 역임), 헌주(憲周 : 상호군을 역임) 3형제 대에서 가세가 크게 융성하여 명문의 기틀을 마련했다.
도관(都官) 중명(仲明)의 아들 집(輯)은 고려조에서 전리판서(典理判事)와 수문전 대제학(修文殿大提學)을 지냈으며, 그의 아우 군평(君平)은 공민왕 때 좌대언(左代言)과 어사대부(御史大夫)에 올라 당세에 대학자로 추앙되었던 막내 현(賢)과 함께 명성을 떨쳤다.
한편 대제학 집의 셋째 아들인 안(晏)은 고려 말에 봉선고 판관(奉先庫判官)을 거쳐 종부시령(宗簿寺令)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평산의 황의산에 들어가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켰으며, 그의 아들 개(槩)가 뛰어났다.
국초이래 명간관(名諫官)이라고 태종이 극찬했던 개(槩)는 태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검열(檢閱)을 지내고 태종 때 이조 정랑(吏曹正郎)·참의(參議)·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거친 후 세종 때는 이조 판서가 되어 북변을 자주 침입한 야인 토벌에 공헌했다.
그후 우참찬(右參贊)으로 『고려사』수찬에 참여했으며, 좌찬성과 우의정을 거쳐 궤장을 하사 받고 기로소에 들어갔으며 1447년(세종 29) 좌의정에 올랐다.
본래 왕조의 기록인 실록은 그 객관성이 흐려지고 당왕의 세력에 좌우되지 않게 하기 위해 왕이 보는 것을 도의적으로 금하게끔 되어 있었는데, 어느날 태조가 자신에 관한 기록이 궁금하여 실록을 보여 줄 것을 하명하자 이에 개(槩)는 완강히 거부하여, 그 후에도 자주 실록 열람을 원하는 임금들에게 간(諫)하는 신하들의 좋은 구실이 되었다. 그는 자준(自準 : 관찰사를 역임), 자승(自繩 : 대사성을 역임), 자형(自衡 : 집의를 역임) 세 아들을 불러놓고 대대로 물려내릴 가훈을 다음과 같이 정하여 가르쳤다.
<언충신, 행독경, 소심익익, 대월상제(言忠信, 行篤敬, 小心翼翼, 對越上帝)>의 유훈을 받은 3형제는 모두 벼슬길에 나가 관직을 지내며 후대에서 훌륭한 인재를 많이 배출시켜 평산 신씨의 중추적인 인물이 되었다.
개(槩)의 아우로 태종 때 문과에 급제한 효(曉)는 우정언(右正言)을 거쳐 세종 때 교수관(敎授官)을 지냈으며, 그의 증손자 영(瑛)이 김식(金湜)의 문하에서 글을 배우고 중종 때 수원 부사(水原府使)로 나가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추앙을 받았다.
어사대부(御史大夫) 군평(君平)의 손자로 공양왕 때 지신사(知申事)를 역임한 호(浩: 한림 혼의 아들)는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옥새를 부둥켜 안고 이성계 일당에 항거했으나 역부족으로 실패하자 고향인 평산으로 내려가 은거하였고, 전리판사(典理判事)의 벼슬을 내려 수차에 걸친 태조의 부름에 응하지 않았다.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成均館儒生) 1천 여 명을 이끌고 대궐에 들어가 조광조의 구명을 상소했던 명인(命仁)은 항상 울분을 품고 <풍류광객>이라 자칭하며 전국을 방랑하다가, 거창에 은거하던 스승 김식(金湜)이 자결했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가 시신을 거두어 충주에 장사지냈다.
당시 김식이란 이름만 입에만 담아도 역적시 당했던 때인데, 그 시체를 운반했던 명인의 용기에 세상사람들은 극찬을 아끼지 않았으며, 장송도중 <조송옥사(弔宋玉辭)>라는 애도시를 지어 자기의 뜻을 밝히고, 다시는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시주(詩酒)로 일생을 마쳤다.
명인의 아들 익(翌)은 명종 때 무과에 급제하여 함평 현감(咸平縣監)으로 나가 치적을 쌓았고, 선조 때 제주 목사(濟州牧使)·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순천 부사(順天府使)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본래 남대문 밖 청파의 배다리 근처에 살았다. 하루는 집 근처에서 길건너 사람과 이야기를 하다가 당시 병조판서 류전(柳琠)의 행차를 범하여 전도하는 하인에게 끌려가 욕을 당했다. 익(翌)은 모르고 범한 것인데 너무 지나치게 욕을 보였다 하여 이 하인을 번쩍 들어 도랑에 내던져 버렸다.
이 소란을 보고 있던 류전(柳琠)은 익(翌)을 장하게 보고 임금에게 대장부 하나를 발견했다고 아뢰어 선전관(宣傳官)에 특채되었으며, 명종이 서교(西郊)에 나갔을 때 거센 돌풍에 어막(御幕)의 끈이 끊겼는데 익은 그 끈을 붙잡고 어막이 넘어지지 않도록 혼자 버티고 있었다고 한다.
개(槩)의 증손 상(鏛)은 어려서부터 성리학을 연구하여 이장곤(李長坤)과 함께 전선(銓選)을 맡아 조광조(趙光祖)·김식 등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노력하였고, 남곤(南袞) 등 훈구세력과의 대립 때에는 이를 중재하였다.
일찍이 평안 감사(平安監司)가 되어 평산부(平山府)의 아관(衙官)을 지날 때 본관 마을이라 하여 수레에서 내려 걸어서 지나갔다고 한다.선조 때 명장으로 유명했던 입(砬:상의 손자)은 1583년(선조 16) 온성부사(穩城府使)가 되어 북면에 침입해 온 니탕개(尼湯介)를 격퇴시키고 두만강을 건너가 야인들의 소굴을 소탕하고 개선하자 선조 임금은 교외에까지 직접 마중을 나가 전포에 핏자국이 나 있는 것을 보고 어의를 벗어주었으며 장군에게 혼기에 닥친 딸이 있는 것을 알고는 신성군(信城君:선조의 넷째 아들)의 아내로 삼아주는 등 극진히 대해주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손수 불러 보검을 내리며 왜군 토벌을 부탁했으나 빈약한 병력으로 출전하여 충주의 탄금대에 배수진을 치고 적군과 대결하다 참패하자 부하장 김여물(金汝岉)과 함께 강물에 투신 자결했다.
입(砬)의 아들 3형제 중 장남 경진(景禛)은 혼탁한 광해군의 난정을 개탄하여 인조반정의 주모자로 선두에서 공을 세우고 정사일등공신(靖社一等功臣)에 책록되어 공조 참의와 병조 참판을 거쳐 병조 판서에 올라 훈련(訓鍊)·호위(扈衛)·포도(捕盜)의 3대장을 겸하고 병자호란 때는 남한산성 수비를 담당했다.
특히 그는 아버지가 투신해서 죽은 강의 물고기를 어찌 먹을 수 있겠느냐 하며 평생동안 물고기를 먹지 않았으며,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에 봉해지고 영의정에 이르러, 정사이등공신(靖社二等功臣)에 봉해진 아우 경우(景裕), 동성군(東城君) 경인과 함께 의절의 무맥을 이었다.
개성 도사(開城都事) 승서(承緖)의 아들 흠(欽)은 인조 때 영의정에 올라 정주학자(程朱學者)로 문명을 떨쳤으며 장 유·이 식과 더불어 조선 중기 한문학의 태두로 일컬어졌고, 글씨에도 일가를 이루어 아우 감(鑑)과 함께 가문을 빛냈다.
인조로부터 "신하가 모두 이같으면 걱정이 없겠다"고 칭찬을 받았던 감(鑑)은 용양위 부사직(龍 衛副司直) 겸 춘추관 기주관(春秋官記注官)이 되어 앞서 임진왜란에 불타 없어진 <왕조실록(王朝實錄)>의 재간(再刊)에 참여했고, 남원부사(南原府使)와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를 역임했다.
흠의 아들 익성(翊聖)은 선조의 딸 정숙옹주(貞淑翁主)와 혼인하여 동양위(東陽尉)에 봉해지고 광해군 때 폐모론을 반대하다가 전리(田里)에 방축되었다가 인조반정 후에 재등용되어 병자호란(丙子胡亂)에 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하여 청군(靑軍)과 계속 싸울 것을 강력하게 주장했고, 화의가 성립된 후에도 계속 척화를 주장한 <척화오신(斥和五臣)>중의 한 사람으로 심양(瀋陽)에 붙잡혀 갔다.
영의정 흠의 손자 최(最 : 동양위 익성의 아들)는 효종(孝宗) 때 봉교(奉敎)로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을 겸하여 <인조실록(仁祖實錄)>편찬에 참여했으며 문장에 능해 <해동사부(海東辭賦)>에 시부(詩賦)가 전한다.
참판 익전(翊全 : 흠의 아들)의 아들 정(晸)은 현종 때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에 급제하여 대사간을 거쳐 대사성을 역임했고, 숙종 때 좌우참찬(左右參贊)과 예조 판서(禮曹判書)·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에 뛰어났다.
영의정(領議政) 흠의 증손 만(曼)은 17세 때 병자호란을 당하여 부모와 처를 데리고 강화(江華)에 피난 갔다가 그 곳에서 어머니와 처 홍씨(洪氏)가 해를 입고 죽자 그 울분과 치욕을 가눌 길 없어 죽으려 하였으나 아버지가 살아있어 못죽고 있다가 난이 평정되었다.
그는 그 치욕을 몸에 입고 한양의 성문 안에 들어 설 수 없다고 하여 회덕(懷德)의 송촌(宋村)에 송시열(宋時烈)을 찾아가 학업을 닦고 부안(扶安) 백연동(白蓮洞)과 진잠(鎭岑) 구봉산(九峰山)에서 야인생활을 지속하였다.
그후 송시열이 입조(入朝)하여 나라의 중요한 기획에 만의 지혜를 참작하고자 여러 번 불렀으나 성(城) 안에는 발을 들여놓지 않으면서 서신(書信)으로서 정사에 참여했고, 전국 각처에 흩어진 명학자들을 찾아 방랑하고 명소마다 찾아가 놀면서도 국정에 참여했으므로 <야인판서(野人判書)>로 불리웠다.
그는 임종 때도 왜놈과 한 하늘에 살다 죽으니 지하에 가서 선친에게 고할 말이 없다고 원통해하며 숨져 갔다고 한다.
철저한 배청숭명 주의자인 민일(敏一)의 아들 상(尙)은 병자호란 때 왕족의 호위직을 맡아 강화도에 피난갔는데 적이 임박해오자 호의의 신들이 모두 도망가고 혼자 세자빈을 지키고 있었다.
이 때 청병이 세자빈에게 접근하여 그들의 장신에게 배례시킴으로써 굴복의 예를 갖추도록 강요하자, 표정하나 흐트리지 않고 서있던 그는 빈의 시종에게 화구를 달구어 오라시키고 그것을 빈이 협박받고 있는 연(筵 : 임금이 타는 가마의 하나) 속에 넣어주며 자결을 권하였다. 그리고 빈의 죽음을 확인한 다음 자기도 따라 자결할 작정이었다. 많은 부녀자들의 자결을 보아온 청병은 이에 겁을 먹고 그 굴욕배례를 단념하고는 그저 신변만을 보호토록 시켰다.
이렇게 세지빈을 구제해낸 상(尙)에게, 세자빈에게 죽음을 강요했다는 모략까지 곁들여 죄목을 씌우려 하자 스스로 유배길을 택하여 원주로 내려가 초가 두 칸을 짓고 사람의 내왕을 사절했다고 한다. 그는 그 곳에서 『부음록 』3권과『 휘언』두 편을 저술하여 후손에게 전했다고 하며, 상의 아들 직간(直諫)으로 당대에 백성들의 속을 후련하게 했던 명규(命圭 : 현종 때 집의를 역임)이다.
당대의 유종으로 예학의 거두였던 석학(碩學) 박세채(朴世采)에게 학문을 연마하여 서인으로서 숙종 때 대사헌(大司憲)에 올랐던 완(玩 : 여정의 아들)은 이조 판서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에 올라 희빈 장씨의 처벌을 주장했고 북한산성의 축조를 건의하여 왕의 승낙을 받았으나 일부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영의정에 올라 평천군(平川君)에 봉해졌다.
영조 때 알성문과에 급제했던 만(晩)은 정자를 거쳐 실록청 도청낭청(實錄廳都廳郎廳)이 되었다가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득세하자 파직당했으나 다시 등용되어 이조(吏曹)와 호조(戶曹)의 판서를 역임하고 편수당상으로 『천의소감』을 편찬했으며,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지내고 영중추부사(領中樞府使)에 이르러, 역시 영의정을 역임한 기로소에 들어간 아우회(晦)와 함께 가문을 대표했다.
그밖의 인물로는 숙종 때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을 지내고 문장과 시문에 탁월했던 유한(維翰)과 영조 때 대사헌을 역임한 위(暐)가 유명했고, 어영대장(御榮大將)을 거쳐 공조 참판을 지낸 대겸(大謙)과 청안한 문장과 서예로 명망이 높았던 작(綽)은 시서화에 능하여 삼절로 이름났던 위(緯 : 참판 연승의 아들)와 함께 이름을 떨쳤으며, 판관(判官) 광온(光蘊)의 아들 재식(在植)은 헌종 때 대제학을 역임하여, 고종 때 지중추원사(知中樞院使)에 오른 명순(命淳), 좌의정 응조(應祖: 동지돈령부사 상현의 아들), 판삼군부사(判三軍府使) 헌(櫶), 판소리 대가 재효(在孝), 임오군란의 책임을 지고 임자도에 위리안치 되었던 정희(正熙), 비서원승(秘書院丞)과 동지돈령원사(同知敦零院事)를 지낸 두선(斗善), 대동학회장과 수학원장을 역임한 기선(箕善), 영남지방의 의병장으로 활약한 돌석(乭錫), 경북 의용단장 태식(泰植) 등과 함께 명문의 가통을 지켰다.
한말에 와서 특히 가문을 빛낸 인물로는 독립군 양성에 전력했던 팔균(八均)이 토비의 습격을 받고 순절했으며, 3·1절 기념방송 사건과 반동비밀결사의 고문으로 추대되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복역중 6·25 때 총살당한 석구(錫九)는 곡성 출신의 의병 정백(正栢), 내장사에서 재기를 도모하다가 사형당한 덕균(德均), 광복회 초대회장 덕영(德永),『심경』이란 잡지를 발간하여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현구(鉉九), 광복군 참리부 내무사랑 우현(禹鉉)이 대표적이며, 제헌국회 의원에 당선되어 초대 부의장(副議長)을 지내고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최고위원과 민주당 대표최고위원으로 야당을 영도했던 익희(翼熙 : 장례원경 단의 아들)는 자유당 독제치하에 민주당 공천으로 대통령(大統領)에 출마하여 명문 평산 신씨의 가맥을 더욱 빛냈다.
평산신씨는 전체 신씨의 70%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는 현존하는 신씨 가운데 대본이며, 역사상 가문을 빛낸 인물들도 평산신씨의 후손들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신(申)씨 본관은 평산(平山) ·고령(高靈) ·아주(鵝州) ·영해(寧海) ·은풍(殷豊) ·천안(天安) ·이천(利川) ·신천(信川) ·곡성(谷城) ·삭녕(朔寧) ·창주(昌州) 등 50여 본이 전한다. 그 중 평산신씨가 약 70 % 이상, 고령신씨가 약 20 %를 차지한다. 조선시대에 11명의 상신(정승), 5명의 대제학, 20명의 판서, 302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참고로 같은 한글의 신씨는 영산, 영월 신씨(靈山, 寧越 辛氏), 거창 신씨 (居昌 愼氏) 등이 있다.
신씨는 1985년도 국세조사에서는 인구 62만 950명(평산신씨 460,238명)으로 전국 인구 구성비는 1.5 %로 274성 중에서 제12위였다.(전체 姓 중에서 기타 2,671, 미상 180 제외)
2000년도 통계청 조사에서는 인구 69만 8171명(평산신씨 496,874명)으로 286성 중에서 제13위였다.(전체 姓 중에서 기타 1,054, 미상 7,900 제외)
2015년도 통계청 조사에서는 인구 74만 1081명(평산신씨 563,375명)으로 제14위였다.
(전체 姓 발표 姓氏 5,582, 성씨본관 36,744, 4인 이하 성씨와 성씨본관은 미공개)
평산신씨 2015년도 통계조사 시도별 인구 통계현황(2015.11.15.일 기준)
행정구역 | 인구 | 비율 |
서울특별시 | 115,896 | 20.6% |
부산광역시 | 29,400 | 5.2% |
대구광역시 | 27,897 | 5.0% |
인천광역시 | 36,369 | 6.5% |
광주광역시 | 15,022 | 2.7% |
대전광역시 | 17,346 | 3.1% |
울산광역시 | 9,786 | 1.7% |
세종특별자치시 | 2,261 | 0.4% |
경기도 | 148,583 | 26.4% |
강원도 | 17,426 | 3.1% |
충청북도 | 18,729 | 3.3% |
충청남도 | 28,621 | 5.1% |
전라북도 | 20,458 | 3.6% |
전라남도 | 14,336 | 2.5% |
경상북도 | 29,720 | 5.3% |
경상남도 | 27,048 | 4.8% |
전국 합계 | 563,375 |